평화 썸네일형 리스트형 "지식의 양보다 의식의 올바름이 더 중요" - 리영희 선생님을 추모하며① 2000년 6월, 경기도 군포시에 사시는 리영희 선생에게 편지를 한 통 보낸 적이 있다. 그해 2월 제주인권학술회의에서 찍은 사진도 함께 동봉했다. 당시 내가 이하던 잡지는 개편을 앞두고 있었다. 그 개편 호 앞부분에 리영희 선생의 글을 받고 싶었는데, 그 편지는 그런 목적을 담은 글이었다. “…지난 2월 말, 한국인권재단에서 주최한 2000제주인권학술회의장이었습니다. 그때, 호주제 폐지가 주제인 토론회가 있었습니다. 한국여성단체연합 지하은희 대표님과 강금실, 이석태 변호사님 등이 발제자로 나섰죠. 발제가 끝나고 토론회가 진행될 당시, 부모성함께쓰기운동에 대한 논의가 나왔고 이때 선생님도 한 말씀 하셨습니다. 부모성씨를 함께 쓰는 것도 방법이겠지만, 새로운 성씨를 만드는 것.. 더보기 인권 평화 생태를 만나는 작은 감수성 부제 : , 미리 쓴 에필로그 늦봄, 춘천에서 소설가 공선옥님을 만났다. 한참 수다를 떨던 차에 공선옥님은 ‘악은 결코 선을 이기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나는 그 말을 조금은 시니컬하게 받았다. “삶에서 그런 걸 증명해 본 적이 있어요?” “선이 꼭 악한테 이겼어요? 현실에서는 악이 이긴 적이 많지 않나요?” 이어지는 물음에 공선옥님이 내놓은 답은 이랬다. “악이 많이 이기지. 그런데 내가 정말로 그런 질문을 하는 너에게 해주고 싶은 말이 있는데 그게 뭔지 아니? ‘내 평생 동안 선이 악을 이긴 적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국은 악이 선을 이기지 못하리라는 믿음이 여기에 저를 살게 하고 있습니다.’ 그 말을 하고 싶어. 이러는 내 삶이 잘못되었냐?” 1. 인권, 평화, 생태. 서른을 전후해 내 마.. 더보기 훗날의 축제 축제를 보았습니다. 공 하나로 불꽃을 지핀 축제를 보았습니다. 그곳에서 스스로에게 즐거움을 만들어 줄줄 아는 사람들을 보았습니다. 엄숙하기 그지없던 태극기로 치마를 만들고, 두건을 만들고, 망토를 만들어 한껏 자신을 가꾸어내는 사람들을 보았습니다. 그들은 얼굴에, 윗몸에, 종아리에, 페인팅 하면서 내 몸뚱아리가 나를 표현하는데 더없이 유용하다는 걸 새삼스레 느꼈을 것입니다. 하여, 누가 ‘우리편’인줄 모를 아이들일지라도 역시 나를 가꿀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축제는 기꺼이 즐거웠습니다. 오늘 만난 아이들이 이 축제를 흐린 기억으로 남겨두기 전에 그들의 기억을 새롭게 채울 또 다른 축제들이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새로운 축제들이 포개지고 포개져 기억 결결이 높고 깊은 축제의 지층이 만들어지기를 바랍니다. 다만.. 더보기 이전 1 2 3 4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