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마흔인 한 아줌마가
남편 후배의 회사에 보증을 섰다가
부도가 나는 바람에
채무를 안고 법정에 서게 되었습니다.
차압에 대비해 살림을 옮기라거나
집이라도 보존하려면 서류상 이혼을 하라는 등
주변 사람들의 조언이 잇따를 무렵,
전업주부로 살아온 아줌마는
정작 자신의 삶은 아무런 보증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아줌마에겐 그의 이름으로 된 재산이라곤 10원도 없었습니다.
결혼 전 직장에서 모았던 돈은
이미 신혼살림 장만에 고스란히 들어가 버렸습니다.
결혼 후 재산은 집이며 현금까지
모두 남편이름으로 되어 있었습니다.
남편의 말을 듣고 보증을 섰음에도
법정에 설 두려움에 남편에게 함께 가 달라고 부탁했지만,
남편의 대답은 냉정했습니다.
“내가 갈 필요가 뭐 있어?”
돌이켜보면 첫 아이 유산 후 힘들었을 때도
큰 아이 낳으려 수술할 때도 남편은 다른 사람이었습니다.
그런 어느날
갓 배운 글쓰기로 법정 출두를 전후한 사연을,
한 인터넷 신문에 올렸습니다.
그 후에 그 아줌마는 또 다른 삶을 경험했습니다.
기사 조회수가 5천명을 넘어 설 때는 무섭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단지 무서움만이 전부는 아니었습니다.
“만감이 교차합니다. 이번 주 내내 울기만 했습니다.”
남성인 저로서는
여전히 비혼인 저로서는
그 눈물의 의미를 모두 이해하긴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다만
‘나’는 없고 ‘가정’만 있는 결혼생활의 허함.
혹시나 남편이 읽었을까 싶은 두려움,
갓 배운 글쓰기에 대한 어려움 등이 교차했을 듯합니다.
그리고…
그 모든 감정의 밑바닥에 ‘여성으로서의 삶’이 있었음을,
그 삶은 결코 남성에 의해 지탱될 수 없음을,
언뜻 언뜻 깨닫지 않았을까 싶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