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른의 생태계/서른의 생태계32+33

32와 12분의 12

 

만들고 싶은 잡지, 몇 가지 설계도
삼십대 중반 어느 무렵 쯤에 시작할 내용으로 생각하는 게 ‘인권과 평화 운동’이다. 이 안에 ‘환경’ 역시 필연적으로 포함된다. 내용만 보자면 어느 사회단체에서 활동하면 될 듯싶으나, 잡지로 수단을 삼았으니 글로써 대중을 만나고 글로써 운동을 말하고 싶다.

이 대목에서는 <작은이야기>에 올 때 꿈꾸었던 “운동을 말하되, 운동이란 말을 쓰지 않는다”는 생각은 여전히 유효하다. 아울러 운동 밖에서 전문적인 기술과 능력을 익혀 운동 안에 들어가 그 외연을 확대하고 내부를 보다 튼튼히 가꾸는 일이 내가 할 일이라고 본다.


2001년 1월에 쓴 글의 일부다. 그 꿈은 여전히 유효하다. 다만 그 당시엔 5년으로 잡았던 준비 기간을 조금 앞당기자는 욕심이 더해졌다. 


잡지 구상을 조금 더 구체화해 하나의 설계도를 그렸다. 이른바 ‘내가 만들고 싶은 잡지 버전2002’이다. 현재로서는 이 설계도가 가장 적정하게 쓰일 곳에 맞는 형태를 취했다

. 내용상 세 가지 주제를 다뤄야 할 잡지지만 ‘인권’ 부분만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나머지 두 부분인 평화와 생태는 좀 더 고민과 학습이 필요하다.


이 설계도가 인권위에서 실현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애초 생각한 시기보다 앞당겨졌기 때문에, 당장 실현되지 않아도 밑지지 않는다. 국가기관이 만들지만 기관 냄새가 나지 않는 잡지, 인권홍보(교육) 잡지지만, 홍보(교육) 느낌이 나지 않는 잡지, 인권을 말하지만 인권이란 말을 쓰지 않는 잡지. 그런 인권교양지를 만들기 위한 몇 가지 생각들을 연습해 본 셈치면 된다.  (2001.12.) 



예쁜 친구

“야! <작은이야기> 없어졌다며. 내가 정기구독 끝나서 연장하려고 전화했더니 휴간했다고 하잖아. 그렇게 어려웠으면 미리 연락하지 그랬냐. 그러면 정기구독 열 개 정도는 끊어줄 수 있었는데… 너 그럼 뭐하고 사냐?”

녀석은 목소리를 드높았다. 12월 말 무렵, 사무실에서 전화를 받던 나 역시 특유의 녀석 분위기 때문에 덩달아 목소리를 높였다.


“뭐. 그냥 잘 먹고 잘 살지. 국가인권위에 있어!”

“어디? 국가인권위? 야 네 계좌번호 알려 줘 봐. 내가 연말에 특별히 불우이웃 돕기 하는데, 이번엔 너를 포함시켜야겠다. 거기 후원해 줄게.”

“계좌번호는 무슨. 나 아직 실업자 아니야. 걱정 마.”

“그러지 말고 빨리 계좌번호 불러. 내가 좋은 일 좀 하려는데.”


며칠 전엔 줌마네 수강생인 한 아줌마가 이메일을 보내왔다. 국가인권위에 1만원짜리 소액회원이라도 되겠다는 거였다. 국가인권위를 시민단체로 이해한 모양이었는데, 마음이 고마워 한참 웃었다. 그런데 이 녀석까지 이럴 줄이야.  이틀 후, 역시 녀석은 집요했다. 다시 전화가 왔다.


“야! 풀꽃세상이란 잡지사에서 사람 뽑는데. 기간이 얼마 안 남았나봐.”

“(소리내어 웃으며) 진짜로 나 직장 구하지 않는다니까.”

대학 동기인, 유부녀이자 직장인인 내 친구 미선이는 이렇게 산다. 시간이 갈수록 참 예쁜 친구다. (2001.12.)

'서른의 생태계 > 서른의 생태계32+3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은, 이야기… 작별, 이야기  (0) 2009.11.22
옷 안 사기, 1년 결산  (0) 2009.11.22
작별을 고한다  (0) 2009.11.22